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2008년 금융위기와 코로나19

IMF는 2020년 세계경제 성장률이

-4.4%가 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이는 지난 6월에 발표된 전망치인

-5.2%보다 상향 조정된 수치인데요.

이번 상향 조정에 대해 IMF는

“지난 전망 시 경제 봉쇄의 피해를

지나치게 크게 평가했다”라고 언급했죠.

결국 세계 경제의

펀더멘털 자체의 개선이

아니란 겁니다.

참고로,

같은 날 2021년 전망치는 5.2%로

6월의 5.4%에 비해 하향 조정했죠.

그래서일까요?

최근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보다

세계경제가 더 어려운 것이 아니냐는

이야기가 나오고 있는데요.

오늘은

왜 그런 이야기가 나오고 있는지,

그 이유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먼저 경기 하락 폭을 보면

글로벌 금융위기 때보다

지금이 더 큽니다.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

세계경제 성장률은 2008년 2.9%에서,

2009년 -0.8%로 하락합니다.

2010년에는 4.6%로 회복됐죠.

반면 코로나19 상황 속에서

세계경제 성장률은

2019년 2.8%였는데요.

2020년에는 -4.4%로 떨어졌다가,

2021년에는 5.2%로 회복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수치만 보면 코로나19 위기가

금융위기 당시에 비해

성장률의 마이너스 폭이

월등히 큰데요.

파월 연준 의장 등은

“금융위기 당시 위기의 원인인

금융부실을 처리하면서

경기가 회복됐지만,

현재는 코로나19 관련 백신이나

치료제의 개발이 지연되면서

경기 회복 속도가 더디다”라고

언급했습니다.

문제는, IMF의 전망이

코로나19와 관련된 불확실성을

모두 반영한 것이

아니라는데 있습니다.

실제로 IMF는

“코로나19 재확산과

정책지원의 조기 철회,

사회적 불안 확대 등

상당한 하방위험이 존재하고

이 같은 충격을 감안할 때

2025년까지 중기 성장률도

점차 하락할 것”이라고 진단했죠.

이렇게 위기 상황이

금융위기 당시보다 심각한 데다

장기화 가능성까지 있어

주요 기관의 경고가

지속되고 있습니다.

 

사진출처 프레시안

 

다음으로

이런 위기가 발생할 때마다

주요국 정부와 중앙은행은

경제적 피해에 대응하기 위해

대규모 자금을 투입하곤 하는데요.

이 규모가 글로벌 금융위기 때보다

이번이 훨씬 더 큽니다.

금융위기 당시 미국 정부는

경기부양과 금융시장 안정을 위해

총 1조 8,000억 달러의 자금을

투입했습니다.

연준도 채권 매입 등을 통해

8,000억 달러의 자금을 지원했죠.

그런데

코로나19 위기에 대응하는 과정에서

미국 정부는 2020년 10월까지

2조 7,000억 달러를 투입했습니다.

같은 기간 연준도

2조 8,000억 달러를 지원했는데,

이 금액은 시간이 지나면서

확대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EU 역시 마찬가지입니다.

금융위기 당시 EU 집행위는

경기회복을 위해 2,000억 유로를,

금융시장 안정을 위해서는

2조 유로를 투입한 바 있는데요.

현재 EU 내

유로존 국가만 하더라도

경기회복에 7,500억 유로를,

금융시장 안정에는

1조 4,700억 유로의 자금을

지원할 방침이죠.

이 금액은

2020년 말까지 계획된 것인데요.

만약 코로나19가 지속된다면

이 규모는

더욱 확대될 가능성이 큽니다.

이렇듯 정부와 중앙은행이

자금을 지나치게 투입하면

물가 불안,

금융시장 불안정성 고조 등

경제에 부작용이 발생할 가능성도

높아지는데요.

주요 기관들은

이 같은 부작용을 우려해

코로나19 위기를 심각하다고

판단하는 겁니다.

 

마지막으로 주요국 정부와

중앙은행의 건전성 저하도

문제로 꼽힙니다.

IMF에 따르면 2020년

선진국의 GDP 대비 재정적자 비중은

10.7%에 달할 것으로 전망되는데요.

이는 금융위기 당시인

2009년의 8.7%를

상회하는 수치입니다.

이에 따라 주요국의

GDP 대비 정부부채 비중도

높아질 것으로 전망됩니다.

OECD에 따르면

2009년과

2020년 정부부채 비중을 비교할 때

미국은 115.6%에서 131.8%,

영국은 78.8%에서 142.2%,

프랑스는 97.6%에서 148.3%로

높아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한편 중앙은행이

금융시장 안정을 위해

자산 매입에 적극 나서면서

중앙은행의 총자산이

크게 확대되었습니다.

금융위기 당시인

2008년 8월부터 2009년 2월까지

미국, EU, 일본 은행의 총자산은

1조 4,000억 달러 증가했는데요.

코로나19가 본격화된

2020년 3월부터 8월까지

세 중앙은행의 총자산은

5조 7,000억 달러 증가해

약 4배가 늘어났습니다.

신용평가사 피치 등이 지적했듯이

정부부채가 늘어나면

중장기적으로

국가 신용위험이 높아져

기업의 경제 활동이 어려워집니다.

때문에 현재의 이런 상황은,

글로벌 금융위기 대비

결코 좋지 않다는 것이

주요 기관의 목소리인 것이지요.

 

그럼 우리나라의 경우는 어떨까요?

먼저 위기 시

경제성장률을 비교해보면

2009년에는 0.8%로

플러스 성장을 유지했지만,

2020년에는 대부분의 기관들이

-1.0%에서 -1.9%의

역성장을 예상하고 있습니다.

2021년 성장률은

3% 내외로 예상되어

여타 국가보다는 높지만

불안한 요인 역시 산재합니다.

재정지출 규모는

금융위기 당시 72조 원으로

2009년 GDP의 6% 수준이었지만,

현재까지 코로나19 대응을 위해

정부가 지출한 자금은 250조 원으로

2019년 GDP의 13% 수준입니다.

 

마지막으로 정부부채는

통계가 시작된 2011년 33.1%에서

2020년에는 43.9%로

높아질 것으로 예상되죠.

그래서 일까요?

S&P 등 주요 기관들 역시,

우리나라도 금융위기에 비해

코로나19 위기가 더욱 심각하다고

평가하고 있는데요.

우리 기업들은

금융위기보다 더 심각하고

장기화될 수 있는 위기가

진행 중이라는 점을 감안해

위기관리와 방어적 경영에

집중해야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